본문 바로가기

복주산

등산코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나는 산
복주산
높이
1121.9m
거리
11km
소요시간
6:00

복주는 ‘복주께’라고 하는 이름에서 딴 것인데, ‘복주께’주발을 뜻한다. 예전에 하늘님이 세상을 심판하실 때 온 천지가 물에 잠겼는데 이 산의 끝머리 봉우리가 그 물위에 주발만큼 남았다는 것이다. 원래의 뜻보다 여기서는 ‘매우 조금’ 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정상 봉우리 부분이 뾰족해서인지 그런 유래를 가지게 되었다.

1151.9m 정상을 기점으로 철원군과 화천군이 나뉜다. 한북정맥의 남한쪽 들머리인 대성산과 이어져 있으며, 복계-복주산 종주코스로 인기가 많다. 현재 등산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정상까지는 종주코스를 이용해야 한다. 복주산에서 가까운 들머리로는 하오현의 하오터널 근처에서 올라오는 길이 있다. 이 길을 이용할 경우 약 1시간 30분 정도면 정상에 오를 수 있고 다시 되돌아오거나, 1시간 10분 거리에 실내고개(화천방향-동쪽)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 능선을 따라 북진하여 수피령으로 내려가는 길이 유일하다. 실내고개로 내려가면 56번 국도를 만나게 된다.

복주산과 회목봉은 한북정맥상의 대성산에서 수피령을 넘어 광덕산 사이에서 하오현을 경계로 연달아 솟아 있는 산이다. 입산통제에서 해제된지 얼마 안된 곳이라 오염되지 않아서 좋다. 산 정산의 넓은 봉우리에 올라 서면 북한의 산야가 바로 펼쳐 보이고 대성산, 백적산, 화학산, 백운산 등의 조망도 뛰어나다. 회목봉은 능선의 굴곡이 다양해서 좋고 정상에 이르는 길은 억새로 덮여 있으며, 사방 막힘이 없이 전망이 시원하다. 능선에는 치마바위, 감투바위등 기암이 많다.

코스소개

  1. 01
    복계ㆍ복주 종주코스 복계산 정상(헬기장) - (30min)
  2. 02
    수피령 갈림길 - (40min)
  3. 03
    공터 - (1hr40min)
  4. 04
    829봉(헬기장) - (40min)
  5. 05
    실내고개 갈림길 - (30min)
  6. 06
    헬기장 - (40min)
  7. 07
    복주산 정상 - (1hr)
  8. 08
    하오터널

복주산 자연휴양림(033-458-9426)은 8km의 임도와 3개의 자연산책로, 유명한 용탕골 계곡등 복주산의 청정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장소이다. 앞으로는 잠곡저수지(잠곡댐)의 경치가 펼쳐져 있다. 3개의 산책로에서 각각 복주산 정상으로 오르는 길을 개발중이나 아직은 휴양림에서 정상까지 오를 수 없다. 잠곡리행 버스를 타고 도보로 15분이면 도착한다.

강원과 함남도의 도계를 이루는 평강(平康) 군의 추가령(楸哥嶺)에서 서남족으로 뻗어 한강과 임진강의 강구(江口)에 이르는 산줄기이다.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동쪽은 회양, 화천, 가평, 남양주 등의 한강 유역이 되며, 서쪽은 평강, 철원, 포천, 양주 등의 임진강 유역이 된다. 백두대간의 추가령에서 서남으로 갈라져 백암산, 양쌍령, 적근산, 대성산, 수피령, 광덕산, 백운산, 국망봉, 강씨봉, 청계산, 운악산, 죽엽산, 도봉산, 노고산, 현달산, 고봉산, 장명산 등으로 이어진다.

찾아오는길

자가용

  • 신철원에서 43번 국도를 타고 북쪽으로 직진 → 문혜사거리에서 우회전 → 463번 국도 → 서면사거리 → 직진 → 육단삼거리에서 우회전 → 잠곡저수지(잠곡댐) → 입구 표지에서 좌회전
  • 경기도 가평군 → 75번 국도 → 광덕초교나 주유소 삼거리에서 좌회전 → 별천지 휴게소 → 삼거리에서 계속 직진 → 하오터널 입구에 도착 → 복주산 자연휴양림은 하오터널을 지나 5분 거리에 있다.